[언리얼 엔진 4.7] 블루프린트 퀵샷 - 10. 변수 반영 스폰 본문
언리얼 엔진 공식 유튜브 튜토리얼 시리즈 [ https://youtu.be/LWiKPaXkT4A ] 학습 후 필기 복습
블루프린트간 공유한 변수를 액터에 반영한 다음 레벨에 스폰하는 작업을 해보려고 한다.
Empty Actor 를 레벨에 드래그 앤 드롭하고 Scene 컴포넌트를 Root 라는 이름으로 추가해준다.
Static Mesh 컴포넌트를 추가한 다음 디테일 패널 Static Mesh 를 Shape_Sphere 로 설정해준다.
블루프린트 / 스크립트 추가 버튼으로 Sphere_Blueprint 를 추가하고 블루프린트 내부에서 Velocity ( =속도 ) 라는 이름의 벡터 유형 변수를 하나 더 추가해준다.
Velocity 변수 디테일 패널에서 인스턴스 편집과 ( Editable ) 스폰 시 노출을 활성화 ( Expose to Matinee ) 를 체크해준다.
StaticMesh 변수 디테일 패널에서 Simulate Physics 를 활성화해주고 컨스트럭션 스크립트에 Ctrl 드래그 앤 드롭해준다.
Simulate Physics 변수 노드 핀을 드래그해 Set Physics Linear Velocity 노드 ( 물리 선형속도 ) 를 불러와 연결해주고 컨스트럭션 스크립트 노드와 실행핀을 연결해준다.
Set Physics Linear Velocity 노드의 New Vel 핀에 Velocity 변수를 연결하고 컴파일해준다.
모드 패널에서 Target Point 를 찾아 레벨 내의 공중 어느 지점에 드래그 앤 드롭해준다.
Target Point 를 선택한 상태에서 레벨 블루프린트로 들어가 우클릭 Target Point 에 대한 레퍼런스 생성으로 TargetPoint 노드를 생성한다.
F 키보드 이벤트 노드를 불러오고 Pressed 실행 핀을 드래그해 Spwan Actor from Class 노드를 불러온다.
TargetPoint 노드 핀을 드래그해 Get Actor Transform 노드를 불러오고, 다시 Return Value 핀을 드래그해 Spwan Transform 핀으로 연결해준다.
SpwanActor NONE 노드의 Class 를 Sphere_Blueprint 를 선택해주면 노드 칸이 변형된다.
Random Unit Vector 노드를 불러오고 핀을 드래그해 Vector * Float 노드를 불러오고 Float 에는 500을 입력해준 다음, 다시 오른쪽 핀을 SpwanActor Sphere Blueprint 의 Velocity 핀에 연결하고 컴파일해준다.
클래스 블루프린트에서 만들었던 Velocity 변수를 레벨 블루프린트에서 랜덤값 * 500 으로 설정해 포물선이 제각기 다른 각도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Tool > Unreal Engine 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엔진 4.8] 총정리 - 01. 에디터와 튜토리얼 (0) | 2019.01.18 |
---|---|
[언리얼 엔진 4.7] 블루프린트 퀵샷 - 11. 변수 반영 스폰 (0) | 2019.01.16 |
[언리얼 엔진 4.7] 블루프린트 퀵샷 - 09. 3D 위젯 추가 (0) | 2019.01.15 |
[언리얼 엔진 4.7] 블루프린트 퀵샷 - 08. 블루프린트간 직접 통신 (0) | 2019.01.15 |
[언리얼 엔진 4.7] 블루프린트 퀵샷 - 07. 인터렉션 추가 ( 상호작용 ) (0) | 2019.01.15 |